3분전 경제74 NAIRU (비가속 인플레이션 자연실업률) 뜻 실업률이 낮아지면 왜 물가가 튀는가? 요즘 경제 뉴스에서는 실업률이 낮다는 말과 동시에 금리 인상 얘기가 함께 나옵니다. 왜 고용이 늘어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는 걸까요? 이 질문에 정면으로 답하는 개념이 바로 NAIRU입니다. 비가속 인플레이션 자연실업률(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의 약자이며, 현대 통화정책의 핵심 틀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AIRU의 개념, 등장 배경, 중앙은행이 이 수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이 개념에 대한 현실적 한계까지 깊이 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NAIRU란 무엇인가?NAIRU는 경제학에서 ‘물가상승률을 가속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실업률’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실업률이 이 수치 이하로 내려가면 임금이 급격히 오르기 시작.. 2025. 4. 18. 스태그플레이션 뜻 (Stagflation) 물가는 오르는데 경기는 나빠지는 역설 보통 경제학에서는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가 떨어지고,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오르는 상관관계를 전제로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 둘이 동시에 악화되는, 아주 혼란스러운 현상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바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입니다.최근 글로벌 경제에서 금리는 높고, 경기는 둔화되고 있으며, 물가는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중앙은행과 정책 당국에 큰 딜레마를 안겨주고 있습니다.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상승(inflation)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제현상입니다. 일반적인 경제이론과는 반대로, 실업률은 높아지고 경제성장률은 낮은데도 불구하고,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기이한 상황입니다.이 개념은 1970년대 초, 오일쇼.. 2025. 4. 18.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뜻 의미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은 왜 엇갈리는가? 2024~2025년, 많은 나라들이 고금리와 고물가를 동시에 겪으며 경제정책의 난이도가 급격히 높아졌습니다. 특히 한 가지 질문이 많아졌죠. "실업률은 낮은데, 왜 물가는 계속 오르지?" 이 질문에 답하는 이론이 바로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입니다.이번 글에서는 필립스 곡선이 어떤 이론인지, 실제로 어떻게 등장했고, 왜 지금은 그 이론이 논쟁에 휩싸였는지를 차근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도 깊은 연관이 있는 핵심 이론입니다.필립스 곡선이란? 기본 개념부터필립스 곡선은 간단하게 말하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이론입니다. 즉, 실업률이 낮아질수록 물가가 오른다는 겁니다. 반대로 실업률이 높으면 물가는 내려갑니다.이 이론은 1958년 영국의 경제학.. 2025. 4. 18. 인플레이션 타겟팅(Inflation Targeting) 뜻 물가 안정 경기 침체의 원인 우리는 뉴스에서 '기준금리 동결' 혹은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표현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왜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중앙은행이 목표로 하는 '물가 안정'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물가 안정의 핵심 전략 중 하나가 바로 '인플레이션 타겟팅(Inflation Targeting)'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인플레이션 타겟팅이라는 정책 프레임이 어떤 개념인지, 실제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닌 이유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인플레이션 타겟팅이란 무엇인가?인플레이션 타겟팅은 중앙은행이 일정 수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 범위 내에서 물가를 유지하려고 금리 등 통화정책을 조절하는 전략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는 연간 2% 정도의 .. 2025. 4. 1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